Adobe 프로그램 정복기/After Effects 에프터이펙트

[AfterEffects] 에프터이펙트 random( ) 표현식으로

HONG_v 2021. 9. 19. 16:52

가끔 작업을 하다보면 랜덤한 효과가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 알아볼 표현식은 random 입니다.

 

1. 난수 / rendom 값 구하기

random은 적는 식에 따라 랜덤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구한 값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위의 이미지의 처럼 Source Text에 식을 입력해보면 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andom 뒤의 괄호 안의 값을 살펴보면 랜덤으로 구해지는 값의 범위를 정해줄 수 있습니다.

random(1, 10)  ->  1부터 10까지의 랜덤인 값
random(10, 100)  ->  10부터 100까지의 랜덤인 값

이렇게 작성하면 하나의 값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소수점 자리수를 제한할 수도 있습니다.

random(1,10).toFixed(3)

toFixed를 사용하면 이미지와 같이 자리수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이 random 표현식은 배열로 작성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작성하면 Position 등과 같은 값에 쓸 때 유용합니다.

random([10, 10], [100, 100])

 

 

2. Rendom Color

지금 해보려는 표현식은 색상을 랜덤으로 바꿀 수 있는 표현식입니다.

a = effect("Color Control")("Color")
b = effect("Color Control 2")("Color")

random(a,b)

Color Control 이펙트를 2개 추가해 색을 정한 뒤 표현식을 작성해주면 그 두개의 컬러 사이의 색상들이 보여지게 됩니다.

 

 

3.  posterizeTime()

posterizeTime은 효과가 변화하는 프레임을 설정할 수 있는 표현식입니다.

posterizeTime(2);
a = effect("Color Control")("Color")
b = effect("Color Control 2")("Color")

random(a,b)

설정한 값 만큼 속도가 조절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번엔 rendom을 좀 더 작업하는데에 실용적인 예시로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