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에프터이펙트] 키프레임 없이 디졸브 효과 넣기 - Fade in, Fade out
    Adobe 프로그램 정복기/After Effects 에프터이펙트 2021. 10. 15. 23:32

    편집 프로그램을 사용해본 사람들은 알겠지만

    프리미어도 파이널컷프로도 그 외 편집프로그램들도 디졸브를 넣는 단축키가 있습니다.

     

    하지만 에프터이펙트는?

    없었습니다. 아마 있는데 모르는 것일수도 있지만 에프터이펙트를 하면서

    디졸브 효과 단축키에 대한 이야기를 들은적이 없어 다른 방법으로 넣기로 했습니다.

     

    이 방법으로 넣으면 좋은점은 키프레임이 없어서 레이어를 자르고 늘릴 때

    키프레임의 타이밍을 다시 맞춰주지 않아도 된다는 것입니다!

     

    1. 이미지 불러오기

    제일 먼저 디졸브 효과를 적용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불러왔습니다.

     

     

    2. Opacity (불투명도)에 Expression(표현식) 입력하기

    스탑워치 모양을 Option 또는 Alt 키를 누른 상태로 클릭하면 표현식을 입력할 수 있는 창이 생깁니다.

     

    빨간색으로 표시한 화살표 모양을 클릭하면 쉽게 표현식을 작성할 수 있게 되어있습니다.

    위 이미지와 같이 Interpolation -> linear(t, tMin, tMax, value1, value2) 를 클릭해줍니다.

     

    linear(time, inPoint, inPoint + .5, 0, 100);

    처음 표현식을 넣고나면 linear(t, tMin, tMax, value1, value2)와 같이 나타나는데 위 이미지와 같이 수정하시면 됩니다.

    수정한 것에 대해 설명을 드리자면 디졸브 효과는 레이어의 시간을 기준으로 불투명하게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time 을 적어주었고 그 뒤의 tMin과 tMax는 시작지점과 끝지점을 지정해주었습니다.

    그리고 value1, 2는 Opacity의 값인 0과 100을 입력해준 것입니다.

     

    t -> time

    tMin -> inPoint (레이어의 시작지점)

    tMax -> inPoint + .5 (레이어의 시작지점에서 0.5초 지점)

    value1 -> 0 (시작지점의 불투명도)

    value2 -> 100 (끝지점의 불투명도)

     

    이렇게 작성해주고나면 아래와 같이 서서히 이미지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생기는 것도 했으니 사라지는 것도 만들어보겠습니다.

    fadeIn = linear(time, inPoint, inPoint + .5, 0, 100);
    fadeOut = linear(time, outPoint - .5, outPoint, 0, 100);
    fadeIn - fadeOut

    표현식은 위와 같이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우선 앞에서 만들었던 시작지점의 표현식을 fadeIn 이라고 해주고

    fadeOut을 하나 더 만들어주어야 합니다.

    그 이유는 최종적으로 fadeIn에서 fadeOut을 빼주어야 잘 작동하기 때문인데요.

     

    linear(time, inPoint, inPoint + .5, 0, 100) - linear(time, outPoint - .5, outPoint, 0, 100);

    이렇게 작성해도 잘 적용되긴 합니다. 하지만 너무 식이 길어져서 불편하고

    이후에 복잡한 작업을 할 때 헷갈릴 수 있기 때문에 fadeIn, fadeOut에 값을 넣어주고 빼주는 식을 작성해준 것입니다.

     

    fadeOut의 표현식도 설명하자면 fadeIn의 식을 작성했을 때와 비슷하고 순서만 바꿔주었다고 보면 됩니다.

     

    t -> time

    tMin -> outPoint - .5 (레이어의 끝지점에서 0.5초 이전 지점)

    tMax -> outPoint (레이어의 끝지점)

    value1 -> 0 (끝지점의 불투명도)

    value2 -> 100 (시작지점의 불투명도)

     

    이렇게 작성이 끝나면 아래와 같이 시작과 끝 지점에 디졸브효과가 들어가게 됩니다.

     

    두개를 나란히 두고 비교해보면

     

    이렇게 표현식을 이용해서 작성하면 좋은점은 키프레임 없이 효과가 적용된 것이기 때문에

    레이어의 시작부분과 끝부분을 자르고 늘리고 할 때 Opacity의 키프레임을 움직여주지 않아도 된다는 점인 것 같습니다.

     

    단순히 영상편집의 디졸브라고 생각하지 않고 모션그래픽 작업을 할 때에도

    불투명도를 넣어주는 경우가 많은데 그때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Designed by Tistory.